도시 레벨링 지도: 보이지 않는 것들에 관하여 1차시는 경기시민예술학교 성남캠퍼스 기획 의도 및 목표에 대한 간단한 소개로 시작한다. 예술가 시민과 비예술가 시민들이 모여, 우리가 사는 도시의 역사와 환경과 생태에 대해 함께 공부하고 고민하고 교류할 수 있는 예술학교를 지향한다. 이에 본 수업은 강사의 일방적인 강의보다는 강사와 참가자, 참가자와 참가자 사이의 대화를 통해 완성되어 가고자 한다.
도시 레벨링 지도: 보이지 않는 것들에 관하여
by 알투스통합예술연구소
1) 공공예술이라는 용어와 정의
공공예술이란 한 단어로 규정하기 어려운, 현재진행형의 예술이다. 참가자들은 각자가 생각하는 공공예술에 대해 이야기한다. 공공예술이란 모두가 예술가인 것, 예술의 경계가 사라지는 것, 함께 나눌 수 있는 보편적인 문화예술인 것, 일상에서 내가 공유할 수 있는 예술인 것 등의 다양한 의견들이 오갔다.
이계원 작가는 자신이 공공예술에 대해 고민하게 된 맥락으로서 장소성에 대한 관심이라는 화두를 제시한다. 내가 사는 곳에 대한 고민을 누군가와 함께 나누게 되면서 도시를 바라보게 되는 방식이 변화했다는 것, 무엇보다 자본의 논리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가치의 충돌에 대한 고민을 담아내는 예술적 문제해결에 대한 생각을 하게 되었음을 고백한다. 이것이 지금 현재 이계원 작가가 생각하고 있는 공공예술이다.
다만 사전적인 의미, 포괄적인 개념으로 보자면 공공예술이란 공공의 장소에 놓여진 예술이다. 환경조각부터 장소특정적 예술, 사회참여적 예술 등 다양한 공공예술을 담을 수 있는 최소한의 정의로 보인다. 이처럼 공공예술을 한 단어로 규정하기는 어렵다. 많은 고민 끝에 도시 레벨링 지도: 보이지 않는 것들에 관하여는 2020년에 이어, 2021년에도 공공예술이라는 용어를 아래와 같이 정의한다.
공공예술
: (도시를 ‘전유’할 권리를 전제로) 균질화되어가는 도시에서 ‘다름’을 ‘고민’하고 ‘함께’ 만들어가는 ‘작업’
2) 공공예술과 주거
도시 레벨링 지도: 보이지 않는 것들에 관하여에서는 도시공간/도시의 삶에 대한 고민을 담아갈 예정이다. 여기서 말하는 주거란 내가 사는 방식 그 자체에 대한 것이다. 주거는 나의 집과 집 근처의 공원과 내가 이용하는 교통과 다니는 학교와 내 지역의 문화예술공간과 그 모든 것을 포괄한다.
이에 따라 도시의 주거 문제에 대해 고민하고, 그 고민을 담아 예술적 문제해결의 사례를 보여주는 공공예술 프로젝트의 예시로서 ‘7000그루의 떡갈나무 프로젝트’, ‘16번가 타일 계단 프로젝트’, 그리고 ‘파크 픽션 프로젝트’를 소개한다. 각각의 프로젝트에 대한 대략적인 개요, 특징, 우리가 고민할 부분 등을 살펴본다.
3) 도시를 레벨링(rebelling)하는 일
‘7000그루의 떡갈나무 프로젝트’, ‘16번가 타일 계단 프로젝트’, 그리고 ‘파크 픽션 프로젝트’는 모두 해당 프로젝트가 벌어진 도시의 특성을 반영한다. 그중에서도 이계원 작가가 직접 방문하고 인터뷰를 진행한 ‘파크 픽션 프로젝트’의 구체적인 경험들을 공유하며, 결국에는 동경의 마음을 내려놓고 나와 내 지역으로 시선이 이동하게 되었음을 알린다.
보이지 않는 것을 지긋이 바라보게 되면 나의 도시에서 레벨링(rebelling), 즉 변혁이 필요한 부분이 드러난다. 단,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내가 사는 지역인 성남에 대해서 알아가는 일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다음 시간에는 성남에서 있었던 역사적인 일들, 신도시로서의 성남이 개발되도록 했던 도시 계획의 수립과 실행 과정, 그리고 성남이라는 도시의 생태 환경을 생각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시도들을 통해서 당장은, 혹은 지금은 ‘보이지 않는 것들’의 문제를 고민하고 예술적 해결을 모색하는 움직임을 기대한다.
도시 레벨링 지도는 우리가 역사와 도시화와 생태라는 큰 맥락을 이해한 가운데 ‘투덜이스머프’처럼, 나의 도시를 꼼꼼하게 살펴볼 때에야 비로소 만들어질 수 있다.